Search
Duplicate

노트토크-엘프화가 아웃라인

제텔카스텐에 대해

제텔카스텐을 좋아하지만 비주류
일반적 제텔카스텐
페트릭 샤샤
숀케 아렌
원자성 노트
연결 중심
아날로그 제텔
셰퍼
종이 고집
니콜라스 루만 방식을 고수
엘프님
루만 방식을 디지털 서랍 안에 작업
디지털의 장점을 더 활용하자!
Workflowy & Obsidian - 무한서랍

화면 공유

메인 화면 - 한 눈에 볼 수 있는 주제로 나열
각 메모들이 연관된 것으로 연결되지만
주제별 분류를 하지 않음 - 선형적인 메모구조
무질서한 메모일 수 있음
장점
분류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아 간단
의외로 편하다
가능성을 수용하는 구조 - 융통성있고 선형적인 구조
파일 분류 & 폴더 , 태그 등을 분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장점

이 과정이 생기기 전, 시행착오

Logseq
모든 데이터를 넣고 연결한다
처음에는 데이터 양이 늘어나는 것이 보이니까 좋았다
하지만 양이 늘다보니 관리 비용이 커지게 됨
관리에 에너지가 비싸서 다른 방법을 탐구
니콜라스 루만 - 메모상자와 대화를 제대로 읽어보고 판단하게 됨
리스트를 채울 때 어떻게 할까?
미니멀 리스트를 채우기 위해 검색을 하고 하지는 않음
관련 정보를 요약할 떄 - 어울리는 키워드 근처에 배치하는 스타일

글을 쓴다 - 노트를 쓴다

제텔카스텐에 대해 글을 쓴다
아이디어 생각 - 노트 - 리스트를 찾기 위해 검색으로 찾나?
급하게 찾을 때는 검색
위치를 파악할 때는 스크롤해서 서치
선형적 메모구조는 - 강남서점같다
정확한 위치를 알려 하지 않고
대략적 위치를 이해한다 - 이정도 사용하는
태그는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에 사용하지 않ㅇ므
리스트를 찾는데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서로 다른 주제가 뒤섞여서 있으면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어느정도 비슷한 위치에 있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다 - 내가 두었기 때문에
웬만큼을 찾게 되어지니까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양이 많아지게 된다면? - 8만개정도가 된다면?

관심있는 것이 8만개 정도가 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알고 있을 것
인덱스카드로 대략적 위치를 명시함으로 확인하게 될 것 같다

의도적으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딜레이를 주는 것?

일부러 워크플로위를 사용하는가?
워크 플로위가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 같다
전체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스크롤을 하게 된다
강제 제텔카스텐을 하게되는 도구같다!

백링크

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아닌 것 도 있다.
카드 내용의 양은 어떻게?
짧은 내용 - 주로 많이 사용하는 듯
기억에도 더 쉽고
소화 못한거는 길게 작성
길게 쓰다보면 나누고 싶은 필요성은 느끼는가? - 언제 느끼는가?
그걸 기반으로 새로운 메모를 만든다
일부 - 일부 = 새로운 메모
긴 것은 요약하기 어려울 수 있어 놔둔다
작성한 시간은 언제?
시간은 따로 작성하지 않음
시간을 작성하는 것이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다
클리핑?
별로 - Google Keep - 모든거 저장
할 일, 재미있는 거, 아이디어 등등
나중에 Workflowy 에 30분 투자해서 정리
원본 글을 저장은 하지 않음
핵심 요약, 링크 정도로만 작성
이렇게 작성해야 오래 남는 듯
메모를 어떤 기준으로 할 것과 안 할 것을 구분
수집
필요한 것을 수집
신기한 것
하루 마무리 쯤에 훑어본다 - 절반제거
남은 것 중 - 남기기 좋은 것 - 분석
분석을 하다 떠오르는 궁금증 탐색
처음 보는 단어 - 검색, 3~4개의 사료를 찾고 이해하기
이렇게 해야 성장함을 느낌
롬, 옵시디언 | 링크는 어떻게?
선형적으로 나열해둔 리스트들이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것
의미상으로 연결을 알고 있기 때문에 굳이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필요한 부분만 연결을 명시하는 스타일
연결이 필요할 때
참조, 외부링크
생각을 보완해주는 메모
디지털 제텔카스텐은 연결을 중시
엘프화가님 스타일과 다른 것 같다
질문에 따라 연결이 달라진다
탐색 목적에 따라 연결과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열린 구조를 가져간다
수정, 병합은 어떨 떄 하나?
수정 많이 하는 편
제목을 보고 내용을 떠오르는데
그런 과정이 안되면
제목을 수정하거나 내용을 수정하거나
병합
병합을 많이 하진 않음
병합이 되는 상황이라면 하나를 더 만든다
워크플로위에 전부 작성하나?
아이디어 빌딩 정도까지만 한다
마인드맵 & 그때그때 필요할때 목적에 맞는 도구를 사용한다
워크플로 -- 구글킵 (읽은 것, 아이디어 캡쳐) -> 워크플로위 (아이디어 선택적 저장) → 마인드맵 (글 구조) -> 타이포라 (글쓰기)
메모 1만장이 되었을 때 메모를 끼워놓는다, 그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이 필요할 떄 새 문서를 만들어
연결과정을 명시
연결을 해야할 것이 보이면
노트를 새로 만들어
가까운 위치에 그런게 있다라는 대략적 명시
자료가 많아지면 정리가 필요한데
구글킵만 사용하는가?
옵시디언은 용도가 무엇인가?
옵시디언 & 워크플로위 - 나의 생각 발전 도구
프로젝트 필요한 것들 - 프로젝트 파일을 만들어 래퍼런스 관리
제텔카스텐 & 생각 - 자료들을 엄격하게 분리함

워크플로우

구글 킵에 아이디어 초기 작성
옵시디언의 markmind 라는 것을 활용해서 글의 구조를 잡아 가시는 거군요
지금은 인덱스 노트를 사용하지 않으시는 것 같은데 1) 현재의 무한서랍구조에서 인덱스노트가 필요할 수도 있는 시점이 언제라고 보시는지 2) 그렇게 되면 인덱스노트가 브런치글에서 말씀하신 구조노트와 어떻게 다른 형태로 구현?표현 되어야 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인덱스 노트
ABCD 순서
어떤 단어, 주제는 대충 이쯤에 있다 라는 위치적 장소 근처에 둔다
계층구조를 갖춘 노트들 - 논리적 구조를 갖춤
목적이 다르다
아직까지 필요하진 않음 - 디지털에선 필요하지도 않을 것 같음
디지털에는 검색이 있기 때문
제텔카스텐 - 의사결정에 도움?
저장
복습
재생산
질문
하위 질문 - 파생
정보 공유 - 의사결정에도 사용하고 있는가?
까먹을 지도 모르는 것
자신보다 많은 것을 배워가고
동료 연구, 보조 바퀴
창의에 도움이 된다!
마인드맵 & 머리 & 제텔카스텐 - 3개가 결합
제텔카스텐 - 창의의 결정적 도구가 아니라 - 생각의 재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