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2주차 모임

읽어야 할 내용
Introduction : Chapter 1 ~ 4
모임 날짜
2022/08/18
요약문 URL
Table
Search
논의 내용
분류
page
작성자
도구들은 오직 잘 고안된 작업 과정 안에서 사용할 때만 그 힘을 발휘할 수 있다.훌륭한 도구들이 서로 잘 맞지 않는다면 그 모든 도구들이 무슨 소용이겠는가
Open
도구
26
Harry Lee
Harry Lee
창의를 요구하는 직무일수록, 계획보다 시스템을 우선한다.
Open
제텔카스텐 효과
P.18
Yeoul
Yeoul
아이디어는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나온다
Open
제텔카스텐 효과
아이디어 빌딩
P.49
Yeoul
Yeoul
작은 변화가 가져오는 것
Open
방법론
35p
요아킴
요아킴
열린 결말의 학습은 무엇이고, 어떤것이 있을까?
Open
정의
p18
규규
규규
나에게 집중력이란?
Open
방법론
p25
규규
규규
통제력을 쥐고 있다는 느낌을 유지할 최선의 방법은 통제력을 놓지 않는 것이다.
Open
해석
p32
규규
규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만들어 나갈까?
Open
질문
도구
p26 ~ 27
Jiwoong Choi
Jiwoong Choi
메모의 사용성(usability)과 유용성(usefulness)사이에서의 균형
Open
방법론
22-23
twinklekris
twinklekris

주차 별 제텔카스텐 요약

글쓰기의 정의 - 나를 위한 (생각정리 … ) + 남을 위한 ( 소통 … ) 매체다!
제텔카스텐 소개와 방법
환경과 도구
시스템
의지 : 의지는 고갈되는 자원이다. 환경을 믿어라
계획 : 계획은 행동을 강요하고 창의를 줄인다. 시스템을 믿어라
집중력 : 환경구축이 완료되면 보다 집중력이 좋아지는 경험이 있다.
시스템 구축 : 믿을 수 있는 시스템이란? 어떻게 만들까?
노트 시스템 :
융통성 있는 노트시스템은 무엇일까?
다시보고 회고하는 노트시스템은 무엇일까?
믿을 수 있는 노트시스템은 무엇일까? 어떻게 할까?

논의주제

1. 떠오른 순간의 생각을 잘 담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은?

정보를 잘 담는다는 의미는?

선별적 캡쳐 vs 무작위 캡쳐 두 관점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선별적 캡쳐는 주로,
마음의 심금을 울리는 순간이 Capture 의 기준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 목적의식이 있으면 좋다고 합니다.
자신의 목적과 비교를 하며 저장을 하니, 정보를 저장할 때 기준이 생기고 재활용할 때 보다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무작위 캡쳐의 스타일은
나중에 “정리” 하며 정보를 분류하고 자신의 것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다고 말합니다.
순간의 생각, 유용한 정보를 필터없이 담고 나중에 “정리” 한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리마인드 맵, 간격 반복 학습 앱을 사용하거나, 지식관리에 보조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이라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잘 발전 하는 것

리마인드 앱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된다.
맥락을 작성해 전달하는 것이 아이디어를 발전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맥락에서 Capture 했는지
제텔카스텐 방법이 시간이 오래걸리니, 자신만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2. 노트 시스템 구축의 기준은?

공통적인 의견은 미래의 내가 봤을 때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Comment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되도록 미래의 내가 봤을 때 노트를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목표하면 좋다고 합니다.
인덱스노트, 리마인드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팁으로 이야기했습니다.
자신의 노트를 했을 때는 충분히 이해하고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윗 문장과 맥락이 이어지지만,
미래의 내가 봤을 때 자신의 언어가 없으면
이해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경험으로 말씀해주셨습니다.
그 외 기능, 보안 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사에 인증 가능한 영역인가?
모바일-데스크탑 간 동기화는 얼마나 잘 되는가?
노트 앱은 가벼운가 (?)
자동화, 플러그인 호환은 어떤가?
협업 하기 좋은가? …